상세 컨텐츠

본문 제목

[주식] 더즌 (Dozn, 티커 462860)

주식

by til.cpdm 2025. 6. 18. 23:00

본문

반응형

 

1. 요약 (Executive Summary)

  • 종목명: 더즌 (Dozn, 티커 462860)
  • 업종: 핀테크 / 디지털 뱅킹 솔루션
  • 투자의견: 보유 (상장 후 높은 성장성과 안정성, 다만 공모가 대비 저평가 우려 있음)

2. 기업 개요 (Company Overview)

  • 사업 모델: 2017년 설립된 B2B 핀테크 솔루션 기업으로, 펌뱅킹·가상계좌·크로스보더 송금·대출비교·환전 키오스크·기업용 메시징 및 ERP 솔루션 등을 제공 (jobkorea.co.kr, stockplus.com, kiminsights.tistory.com).
  • 산업 내 위치: 국내 VAN업체 중 한 축으로 자리매김 중이며, 카카오페이가 투자 및 전략적 제휴(지분 약 9‑10%) (kiminsights.tistory.com).
  • 주요 제품/서비스: 펌뱅킹 서비스, 가상계좌, 교차국 금융, ERP, 메시징, 환전 키오스크 등 종합 B2B 금융 플랫폼.
  • 경영진: 창립자 및 대표이사 조철한. 기술 기반 및 외부기관 인증(ISMS, 기업부설연구소) 확보 (ko.wikipedia.org).

3. 재무 분석 (Financial Analysis)

  • 매출 성장: 2022년 296억 → 2023년 421억 → 2024년 627억으로 연평균 성장률 매우 높음 (comp.fnguide.com).
  • 이익률:
    • 2024년 영업이익 100억, 순이익 99억 수준 (ko.wikipedia.org).
    • 영업이익률 약 16%로 업종 내 견조한 수준.
  • 대차대조표 및 유동성:
  • 현금 흐름: 구체 수치는 없으나, 영업이익 흑자 지속은 긍정적 신호.

4. 주가 성과 (Stock Performance)

  • 상장 배경: 2025년 3월 코스닥 상장(공모가 9,000원), 시총 약 2,120억 원 규모 (ko.wikipedia.org).
  • 상장 후 시세: 공모가 대비 낮게 출발했으나, 최근 6거래일 연속 상승하며 6월 18일 5,010원 기록, 하루 +15.97% (cbci.co.kr).
  • 변동성: 상장 초기 변동성 높았으며, 기관 매수세 유입 중.
  • 배당: 현재 무배당.

5. 가치 평가 (Valuation Analysis)

  • PER / PBR:
  • 상대적 평가: 동종 핀테크 기업 대비 밸류에이션 양호하나, AI 기반 밸류라인은 "과대평가" 경고 (valueline.co.kr).
  • DCF / 비교 평가: 공모가 대비 주가가 낮아진 상태에서 성장률 고려 시 매력적 구간.

6. 산업 및 시장 분석 (Industry & Market Analysis)

  • 산업 트렌드: 오픈뱅킹·전자금융 확대 정책, 이커머스 성장 → 펌뱅킹·간편송금 수요 증대 (comp.fnguide.com).
  • 시장 점유율: 핀테크 VAN 업계에서 영향력 강화, 카카오페이 제휴로 신뢰 확보.
  • 거시경제: 금융 규제·인증 강화는 기회, 유심 해킹 관련 본인인증 재수요 확대 (m.thinkpool.com).

7. 리스크 분석 (Risk Analysis)

  • 시장 리스크: 상장 초 변동성, 경쟁 심화 및 글로벌 금융 리스크.
  • 재무 리스크: 부채 규모가 유동자산 대비 꽤 높음.
  • 규제 리스크: 전자금융거래법 개정 등 규제 변화 가능성.
  • 소송 리스크: ERP 저작권 관련 소송 진행 중 (jobkorea.co.kr, comp.fnguide.com, ko.wikipedia.org).

8. 성장 동력 (Growth Catalysts)

  • 신제품/서비스: 크로스보더 송금·환전 키오스크, ERP·메시징사업 확대.
  • 글로벌 확장: 동남아 등 해외 시장 진출 계획 (m.thinkpool.com).
  • 파트너십: 카카오페이와 기술·시장 협력.
  • 공모자금 활용: 상장 후 조달 자금은 사업 확장과 기술 개발에 사용될 예정 .

9. 애널리스트 의견 (Analyst Sentiment)

  • 컨센서스: 아직 공식 증권사 투자의견·목표주가 부족 (comp.fnguide.com).
  • 시장 평가: AI 플랫폼은 "과대평가" 신호, 공모 및 상장 후 흐름은 긍정적 (valueline.co.kr).

10. 결론 (Conclusion)

  • 요약: 급성장 중인 핀테크 벤처로, 안정적 매출·이익 구조와 강력한 성장 모멘텀 보유.
  • 투자 전략:
    • 보유 추천: 현 주가(5,000원대)는 공모가 대비 저평가 가능성, 단기적 반등 여력 있음.
    • 중장기 관점에서 글로벌 진출 성공 및 ERP 소송 결과, 펌뱅킹 시장 확대 여부가 핵심 변수.
  • 주의사항: 단기 변동성, 부채 수준, 규제·소송 리스크는 꾸준히 모니터링 필요.
반응형

관련글 더보기

댓글 영역